※ 민주적 시민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
1. 두려움 없이 그리고 열린 마음으로 상대방의 말을 들으면서, 우리가 차이를 넘어서 얼마나 많은 것을 공유하는지를 배우기
2. 자기 자신과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험에 들어가는 것을 상상하면서 낯선 타자에 대한 공감을 심화시키기
3. 우리가 믿고 아는 것을 확신을 가지고 붙들면서 동시에 다른 견해에 대해 귀를 열어놓고, 필요하다면 생각을 바꾸기
4.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주장하는 진실에 의심이 들면 언제든 대안적인 사실과 설명을 찾아내고, 그렇게 함으로써 더 나은 정보와 지식으로 나아가기
5. 대화에 대해 파고들고, 질문하고, 탐구하고 매달리면서 그 과정에서 현실에 대해 더욱 충분하고 3차원적인 관점을 발전시키기
6. 갈등으로 점철된 정치 현장에 들어가 복합적인 힘이 작용하는 역동성을 붙들어 시민 공동체를 결속시키고, 정부가 국민의 뜻에 책임지도록 붙드는 힘을 스스로에게 부여하기
7. 집단적인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증진하면서, 여러 생각이 겨루는 가운데 보다 나은 해결과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8. 여러 차이로 가득 찬 세계를 대면하면서 더욱 편안함을 느끼고, 다양성의 열매를 더욱 잘 만끽할 수 있기
※ 민주적 마음의 5가지 습관을 길들이기 위해 ...
1. 우리는 이 안에서 모두 함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 우리는 다름의 가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 올바르게 이해된 환대는 낯선 사람이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줄 수 있다는 생각을 전제로 한다. 이는 다름을 적극적으로 우리의 삶으로 초대하여 더욱 확장한다. 거기에는 우리의 생활양식과 완전히 달라 보이는 형태의 다름도 포함된다. 물론 그 차이 안에 깔려 있는 창조적 가능성들을 끌어안지 않으면 깊은 환대를 실천하지 못할 것이다.
3. 우리는 생명을 북돋는 방식으로 긴장을 끌어안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 ...... 우리의 삶은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 그 긴장들이 우리 마음을 확장하도록 한다면, 자신과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가면서 자신의 삶을 고양시키고 타인의 삶도 고양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 지닌 천재성은 그 긴장들을 활용하여 통찰력과 에너지와 새로운 삶을 생성할 능력에 있다.
4. 우리는 개인적인 견해와 주체성에 대한 의식을 가져야 한다. ...... 우리는 아직도 자신의 견해를 찾아내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하는 데서 오는 만족감을 알 수 있다. 공동체의 지지가 있다면 말이다.
5. 우리는 공동체를 창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공동체가 없다면 목소리를 실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 둘 또는 셋의 비슷한 사람들이 꾸준하게 동반자가 된다면, 시민으로서 발언하고 행동하는 데 필요한 용기에 불을 붙일 수 있다.
파커 J 파머, 김찬호 옮김,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글항아리, 2012, 52-53쪽과 93-96쪽.
※ 노래 한 곡 들을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fFfVkXekgH4
'Sur l´ea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산층의 기준 (0) | 2015.09.17 |
---|---|
시험의 목적 (0) | 2015.09.03 |
전환점 (0) | 2015.08.13 |
우리가 잃어가는 것들 (0) | 2015.05.12 |
멈춰진 시간이 다시 흘러 (0) | 2015.04.15 |